■■ 종단자료 분석을 위한 잠재성장모형 ■■
● 내용:
◎ 종단연구의 기초
종단자료 분석시 사용된 기존 연구방법의 문제점
최신 연구경향
국내 패널자료 소개
◎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초
◎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변화모형
◎ 선형 잠재성장모형
◎ 변화에 있어서 개인차를 설명하는 조건모형
◎ AMOS 사용방법 및 결과해석
◎ Mplus 사용방법 및 결과해석
◎ 집단변화평균 그래프, 개인변화 그래프 개발
◎ 다층 선형변화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의 강점과 제한점 비교
◎ 시간코딩 방법
◎ 정의변수(definition variable)을 이용한 개인별 측정시점이 다른 자료분석
◎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독립변수와 초기치 사이의 상호작용 모형
◎ 시간의존적 변수의 개인간 무선효과 검증
◎ 변화의 원인과 결과 검증
◎ 결측치(missing data) 처리방법
완전정보 최대우도 (full information maximum likehood) 방법
다중대체 (multiple imputation) 방법
◎ 측정오차 통제를 위한 고차 잠재성장모형
◎ 비선형변화 형태를 위한 2차함수 모형
◎ 변화함수 형태 추정을 위한 Latent basis models
시점 사이의 변화량 추정
◎ 비연속 잠재성장모형
Piecewise 모형
부가 성장효과 모형
◎ Cohort Sequential 잠재성장모형
◎ 변화사이의 관계 추정을 위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
◎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
◎ 변화에 있어서의 집단차이 분석
다집단 분석
집단 더미변수를 이용한 분석
◎ 다층 잠재성장모형 1
2수준 잠재성장모형과 3수준 다층모형과의 비교
◎ 다층 잠재성장모형 2
개인수준의 시간의존적 변수의 집단수준에서의 무선효과 검증
◎ AMOS, Mplus 사용방법 및 결과 해석
|